-
주요내용
대중교통 이용이 잦은 저소득층(차상위계층, 기초생활수급자)과 청년층(만 19세~34세)의 교통비 부담 경감을 위해 2023년 1월 1일부터 알뜰교통카드 혜택이 대폭 강화되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란 이용자가 대중교통을 이용 시 출발 및 도착지와 정류장 간 보행, 자전거 등을 통해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따라 국가와 지자체가 마일리지를 지급(20%)하고, 카드 이용실적에 따른 카드사의 추가 지원(10%)으로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카드였다. 2023년 1월 1일부터는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저소득층은 최대 50%까지, 청년층은 최대 38%까지 이용요금 절감 혜택이 부여된다.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기준
1회 교통요금 지출액 2천 원 미만 2천 원 ~ 3천 원 3천 원 이상 비고 일반 - 현행유지
(원 상한)~250원
(11,000 원)~350원
(15,400 원)~450원
(19,800 원)보행・자전가 이동거리
(최대 800m)에 비례하여 지급청년층 - 신설
(월 상한)~350원
(15,400 원)~500원
(22,000 원)~650원
(28,600 원)저소득층 - 상향
(월 상한)350원→500원
(22,000 원)500원→700원
(30,800 원)650원→900원
(39,600 원)* 정기적 통근 (월 22일) 지원 차원에서 월 44회 이용 시까지 지급
* 차상위계층 및 기초생활수급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회원가입 시 등록 필요
✶ 지급조건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저소득층 알뜰교통카드 신청 및 가입 방법
1. 알뜰교통카드 누리집(https://www.alcard.kr/)에서 카드 확인 후 카드 신청 및 카드 수령
2. 구글 play 스토어, 원스토어, 갤럭시스토어, 앱스토어(아이폰)에서 알뜰교통카드 앱 검색 후 설치
3.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하여, 맨 위 우측 줄 세 개 누른 후 회원가입 버튼 클릭 및 회원가입 진행
4. 회원정보 입력화면 맨 아래 '저소득층 증빙서류 등록하기'버튼 클릭 후, 서류 사진 등록
5. 대중교통 승차를 위해 출발지(예: 자택)에서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하여 '출발' 버튼 클릭
6. 대중교통 하차 후, 도착지(예: 회사)에서 알뜰교통카드 앱을 실행하여 '도착' 버튼 클릭
(참고) 알뜰교통카드 사업 참여 지자체(22년 12월 기준)
- 수도권
서울 : 전 지역
인천 : 전 지역
경기 : 전 지역
- 충청권
대전 : 전 지역
세종 : 전 지역
충북 : 청주, 옥천, 제천
충남 : 전 지역
- 전라권
광주 : 전 지역
전북 : 전주, 익산, 남원, 완주, 군산, 정읍
전남 : 순천, 무안, 신안, 여수, 목포, 해남, 광양, 나주
- 경상권
부산 : 전 지역
대구 : 전 지역
울산 : 전 지역
경북 : 포항, 영주, 경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남 : 양산, 거제, 김해, 밀양, 산청, 진주, 창녕, 창원, 통영, 고성, 사천, 함안
- 강원 및 제주 지역
강원 : 춘천, 강릉, 원주
제주 : 전 지역
* 알뜰교통카드 가입은 알뜰교통카드 사업의 참여 지자체(163개 시・군・구)의 해당 지역 주민(주민등록지)이어야 가능함
(자료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정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장애인콜택시 24시간 이용 (0) 2023.01.08 2023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산림바우처 신청 (0) 2023.01.02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알아보기 (0) 2022.12.25 윈윈터페스티벌 만원의 행복권 이벤트 (0) 2022.12.17 주민등록번호 변경 신청으로 유출 피해 예방 (0) 2022.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