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12. 25.

    by. 재시칸2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이란?

    필자는 부부 사이에 아이 둘을 키우고 있는 4인 가족 가정이다. 지난달에 가스비 청구서를 보고 눈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전달에 비해 3배가량 더 나온 요금을 보고 보일러가 잘못되었나 생각을 할 정도였다. 가스 요금이 인상되면서 본인과 같은 경험을 한 가정이 엄청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게다가 최강의 한파까지 몰아치면서 아이를 키우는 입장에서 난방을 안 할 수도 없고 참 난감한 상황이다. 오늘 얘기하려고 하는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제도는 한국가스공사에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동절기 도시가스 사용량 감축을 위해 운영하는 제도로 전년도 사용량보다 7%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돌려주는 제도이다. 주택난방용 / 중앙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 사용자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단, 난방목적이 아닌 취사용 / 취사전용 요금제 사용자, 전출 세대 등 전년도 사용량 자료가 없는 세대는 참여에서 제외가 된다. 사실 이번 겨울 날씨가 너무 춥기 때문에 전년도보다 적게 난방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가정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렇지만 혹시나 장기간 집이 아닌 곳에서 지내게 될 경우 혜택을 받을 수도 있으므로 일단 신청을 해 두고 조건이 맞는 상황이 되면 캐쉬백을 받아보는 것도 가계 경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신청기간 및 캐쉬백 지급 내용

    신청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까지 2개월간 가능하다. 절약기간은 2022년 12월부터 2023년 3월까지로 2023년 1월부터 4월까지 고지서 발행분을 기준으로 진행된다. 

    구분 7% 이상 절감 시 10% 이상 절감 시  15% 이상 절감 시
    캐쉬백 지급단가 30원/㎥ 50원/㎥ 70원/㎥

    전년 동기간 대비 7% 이상 절감 시 절감율별 차등 지급하며, 절감율이 높을수록 캐쉬백 지급단가가 높아진다. 절감 성공시 신청자의 계좌번호로 현금 지급된다.(6월말 예정) 

    캐쉬백 신청 방법

    출처 :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 사이트

    K-가스캐쉬백 사이트(https://k-gascashback.or.kr/) 를 통해서 가입이 가능하다. 회원 종류는 지역 도시가스사에 가입하여 이용하는 개인 및 단체회원(아파트관리사무소 등)이어야 하며 취사전용으로 도시가스를 이용하는 회원은 가입이 불가하니 유의해야 한다. 회원가입 시 준비사항으로는 도시가스 납부 고지서, 이용하는 도시가스사명, 도시가스 고객식별 번호가 있다. 회원 가입 후 휴대전화 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가 변동되는 경우 반드시 마이페이지 > 회원정보 변경메뉴에서 수정을 해야 한다. 가스비가 무서워지는 이 시기에 해외나 타지에 나갈 계획이 있는 분들이라면 도시가스 절약 캐쉬백을 신청해서 후에 캐쉬백을 받을 수 있으면 좋을 것 같다.

     

    도시가스 절약 팁

    가정에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오는 경우는 온수 온도를 최고로 설정하고, 수압을 강하게 해 뜨겁다 느껴, 다시 차가운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상황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 온수 사용 시 가스비가 가장 많이 나온다고 보면 된다. 온수 온도를 약이나 중으로 설정 또는 목욕탕 온도인 40도 정도로 조정하고 수압을 중간 정도에서 사용하면 물을 데우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낭비와 아이들의 화상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그 외에 실내 적정 난방온도는 18도~20도로 설정하고, 40~60% 정도의 적정 습도를 유지하는 것도 도시가스 절약에 도움이 된다. 또한 안 쓰는 방의 난방밸브 잠그기와 보일러 청소도 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된다고 한다.(자료출처 : 도시가스절약 캐쉬백 사이트)